세계적으로 산업화의 과정에서 부흥했던 도시들이 정보산업시대로 넘어가면서 쇠퇴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도 강원도 광산지역이 대표적이다.
한국에서는 이러한 지역에 내국인 출입 카지노 시설을 허가해서 지역경제를 살리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방법 외에도 쇠퇴한 도시를 회생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도시재생(urban renewal)이 존재한다. 도시재생과 유사한 용어로는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 도시마케팅(city marketing) 등이 있다.
도시재생은 변화하는 도시환경에 적응하고, 도시의 쇠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경제적인 관점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Couch, 1990).
도시재생은 여러 방식으로 시행될 수 있는데, 먼저 상업 및 업무 관련 건물을 지어 침체했던 도시에 다시 활기를 불어넣는 방법이 있다. 우리가 도시재생 즉 도시 재개발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이다. 그리고 서비스업이나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도시재생 방식도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스페인의 빌바오는 구겐하임 미술관을 유치하면서 성공적인 관광도시로 거듭나는 도시재생을 수행하였다.
그래서 다양한 방식으로 도시재생을 한 지역 중 톡파원 25시 프로그램에서도 소개된 큐브하우스가 위치한 네덜란드 로테르담의 Kop Van Zuid(콥 반 자드) 지역의 도시재생을 소개해 본다.
Kop Van Zuid : 로테르담의 역사적 항구가 활기찬 도시로 변모
로테르담의 Kop Van Zuid는 혁신적인 도시 재생지역 중 하나이다. 한때 도시의 중심 항구였으나 현대적인 해운의 발전으로 오래된 부두를 이용하지 않게 되면서 낙후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시정부는 도시 재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Kop Van Zuid를 역사와 현대적인 디자인이 혼합된 현대 도시로 탈바꿈시켰으며,, 도시재생의 본보기로 바꾸었다.
참고 : 도시재생은 민간개발자 주도 또는 도시정부 주도로 추진된다. 콥 반 자드는 도시정부 주도로 도시재생이 이루어졌으며, 민간개발자 주도의 도시재생 지역으로 스코틀랜드 글라스고우가 대표적이다.
1. 역사적 배경
Kop Van Zuid(남쪽의 곶이라는 의미) 전성기에는 전 세계의 배들이 부두에 정박하면서 로테르담 해상 무역의 중심이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콥 반 자드의 역사적인 부두는 거대한 현대 화물선들에게 적합하지 항구가 되었다. 그러면서 1980년대까지 이 지역은 로테르담의 아주 낙후된 지역의 상징이 되었다.
2. 로테르담 침체
1) 급격한 인구감소 및 실업자의 증가
- 인구 : 1965년 약 731,000명에서 1984년 555,000명으로 24% 감소
- 실업자 수 : 1981년 26,700명에서 1987년 48,800명으로 83% 증가
2) 도시 중심부와 부도심의 생활 및 사회기반시설의 노후화
3) 항만시설 및 다수의 경제기반시설 방치로 인한 낙후
4) 고소득계층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해 소비위축
- 도시외곽 이주로 도심부 침체
5) 노동집약적 제조업의 침체
- 항만산업 및 해운수송산업과 관련 산업의 이전
6) 낙후 및 저급 공공임대주택의 집중화
- 로테르담 남부지역의 약 90%가 공공임대주택
3. 리뉴얼을 위한 비전
- 황폐화된 항만지역 재개발을 통한 새로운 변화 추구
- 도심부 인접 수변지역의 지리적, 위치적 우위성 활용
- 상업 및 업무 관련 건물과 문화 · 예술시설물 및 고급주택 중심의 물리적 개발
- 서비스업 및 관광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
4. 개발과정
로테르담의 콥 반 자드 개발 사업은 20년 이상 소요된 장기 개발계획으로 로테르담 역사에서 가장 큰 규모의 개발 사업이다.
5. 개발목표
- 도시 남과 북을 연결해서 도시 내 지역 간 통합 및 상생발전
- 도시 경쟁력을 강화해서 노동집약적 산업도시 이미지 탈피
- 세계적 수준의 상업, 업무, 주거지구 조성으로 친기업적 환경 인프라로 민간자본 유치
6. 개발주체
1) 추진구조 : 로테르담 시정부의 도시개발부서에서 추진
- 개발계획의 실행에 민간개발업체의 참여
- 개발사업에 대한 국내외 민간투자
2) 추진 주체의 역할
- 공공부문 : 시정부의 도시개발부서가 행정적, 제도적 측면과 공공재원 지원 등의 전반에 걸쳐 주도적 역할 수행
- 민간부문 : 국내외 부동산개발회사 및 금융회사, 지역주택협회 등 다양한 민간부문이 개발 사업에 참여
3) 실행
- 민간부문에 개발지역의 토지매입을 철저하게 제한하는 동시에 항만지역의 재개발과 관련된 실행사업에는 국내외 민간투자와 민간개발업체의 참여 장려
- 추진 계획의 세부적인 실행사업은 공개입찰을 통한 민간개발자의 참여를 장려
- 개발사업에 소요될 비용과 최종 수익은 선결협정을 통해 개발 참여자 간 공정한 배분
7. 도시재생 성과
1) 중앙정부의 재정지원과 도시정부의 주도로 1996년 건설된 에라스무스다리
- 니우어 마스강 북쪽과 남쪽 간의 접근성을 향상함으로써 콥 반 자드의 위치적 강점이 부각되면서 개발 사업에 대한 민간부문의 관심과 투자가 확대
2) 민간기업의 합작으로 각종 업무용과 상업용 건물이 건설
- 공공기관(법원, 세무서 등)과 공기업인 국립전화국, 로테르담 항만회사 등이 입주
- 쇼핑, 레저 등 시설물의 건설에 민간투자가 유입
3) 도시 전반을 연결시키는 교통망의 중심축 역할
- 전차(tram)를 통해 로테르담 남쪽지역에 거주하는 저소득계층에게 도시중심부로의 접근성을 향상해 개발의 혜택을 공유하는 사회적 형평성 확대
4) 신규주택 건설은 민간에 의해 실행되었지만, 주택유형과 규모 등은 시 정부의 계획으로 추진
- 단독주택 및 1인 또는 2인 가구 등 다양한 규모의 복합용도 아파트단지 건설
- 기존의 공공임대주택에 집중된 주택공급에서 벗어나 자가주택 공급확대
5) 레크리에이션(열린 자연녹지공원 등) 및 교육시설 조성
- 장기 유휴 토지를 활용하여 지역 거주민 간 소통공간으로 제공
- 더 나은 교육기회의 제공을 위해 여러 개의 새로운 교육시설(초/중/고등학교) 설립
8. 도시재생 한계
- 공공 주도로 개발사업의 신속성 저하
- 공공기관의 입주에 의지하는 단순한 개발전략 추진
- 고소득계층 및 전문 인력이 아닌 대학생 임대자 집중 (1인 주택)
9. 콥 반 자드의 미래
Kop Van Zuid의 재개발은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 미래를 위한 계획에는 추가적인 주거 개발, 지속 가능한 개발목표 수립, 문화와 관련된 기관의 지속적인 유치 등이 포함된다. 그래서 이 도시는 현대 도시들의 모범이 되는 탄소 중립 지역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J miscellaneo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 전등사 대웅전 나부상의 전설 (0) | 2024.09.17 |
---|---|
일본 3대 마츠리 (0) | 2024.02.24 |
진주 남강유등축제 (0) | 2024.02.10 |
태국 송크란 축제 (0) | 2024.02.08 |
독일 졸페라인(Zollverein) : 과거의 영광에서 현대 문화 중심지로 (0) | 2024.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