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 wine

샴페인 하이볼

by DARA J 2023. 7. 3.

샴페인 하이볼

 

요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하이볼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면서 일본에서 하이볼 위스키로 인기가 높은 산토리 위스키의 인기가 국내에서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볼은 증류주를 기본으로 만들지만, 최근에는 소주나 전통증류주를 이용한 넓은 의미의 하이볼 제조법이 인터넷에서 소개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하이볼에 사용되는 탄산수 대신에 고가의 샴페인을 사용하여 하이볼로 만들어 마시는 문화도 생겨나고 있다. 이에 샴페인 하이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1. 하이볼이란?

  하이볼은 일반적으로 무알코올 탄산수 등과 혼합된 기본 증류주로 구성된 일종의 칵테일로, 일반적으로 하이볼 글라스라고 하는 유리잔에 얼음과 함께 제공된다. "하이볼"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음료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유형의 유리 제품(길쭉한 유리잔)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이러한 하이볼에 대한 기원은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그 중 하나가 1890년대 부터 영국의 바텐더들이 위스키 음료를 'Ball"이라고 불렀고, 길쭉한 'High' 유리잔이 칵테일 등에 사용되면서 하이볼이 탄생했다는 설이 있다.

 

  이러한 하이볼은 개인적인 취향과 개인이 원하는 칵테일의 맛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증류주에는 위스키, 보드카, 진, 럼 또는 데킬라가 포함된다. 혼합하는 음료는 청량하고 거품이 많은 요소를 음료에 첨가하는 탄산수, 진저 에일 또는 토닉 워터와 같은 일반적인 탄산 음료이다. 하이볼을 만들기 위해, 기본이 되는 증류주를 얼음으로 채워진 하이볼 유리잔에 따르고, 그 다음 혼합 음료로 유리잔을 채워준다. 그런 후 음료는 혼합물이 잘 섞이게 하기 위해 부드럽게 휘졌는다. 하이볼은 종종 맛과 시각적인 매력을 더하기 위해 감귤류 과일 조각이나 다른 고명으로 장식하기도 한다.

 

  하이볼은 간단하고 준비하기 쉬워서, 일상적인 행사나 사교 모임에 인기 있는 선택이다. 술과 탄산수의 비율을 조절해 개개인의 취향에 맞게 맞춤형으로 만들 수 있는 가볍고 청량한 음료로 즐기는 경우가 많다. 하이볼 칵테일의 고전적인 예로는 위스키 하이볼(위스키와 소다 물), 진과 토닉(진과 토닉 물), 보드카 소다(보드카와 소다 물)가 있다. 하지만 하이볼의 개념은 끊임없는 변화와 실험을 가능하게 하여 다목적이고 즐거운 칵테일 스타일이 가능하다.

 

2. 샴페인 하이볼

  샴페인 하이볼은 샴페인이나 스파클링 와인에 술, 탄산수, 얼음이 결합된 상쾌한 칵테일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볼 유리잔에 제공되며 맛과 시각적 매력을 더하기 위해 과일이나 허브와 함께 장식될 수 있다. 샴페인 하이볼은 다양한 취향에 어필할 수 있는 다목적 칵테일로, 거품의 균형, 청량한 탄산수의 특성을 제공한다. 술의 선택은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인기 있는 옵션에는 보드카, 진, 그리고 위스키가 있다. 샴페인 하이볼을 즐기는 사람들은 종종 스파클링하고 거품이 많은 음료를 즐기는 사람들이지만 복합적인 맛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도 있기가 있다. 특히 사교 모임이나 축하 행사에서 가볍고 상쾌한 칵테일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선택이다. 이렇게 샴페인 하이볼은 간단한 준비와 개인 취향에 따라 음료를 주문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다.

 

3. 샴페인 하이볼 제조

1) 재료 :

 - 샴페인 또는 스파클링 와인

 - 보드카, 진 또는 위스키 등 개인 기호에 따른 술

 - 얼음이 채워진 하이볼 글라스

 - 탄산수

 - 옵션: 신선한 과일 또는 허브(레몬 조각, 베리 또는 민트 잎 등)

 

2) 제조 :

 - 하이볼 잔에 얼음을 채워주고 선호하는 증류주와 샴페인이나 스파클링 와인의 비율을 1:3 정도로 채운다.

   (개인의 취향과 강도에 따라 배합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 탄산수로 잔의 가장자리까지 채운다.

 - 재료들이 잘 섞이게 하기 위하여 부드럽게 젓는다.

 - 원하는 경우 샴페인 하이볼에 신선한 과일이나 허브를 곁들인다.

 - 추가적으로 레몬 조각 등을 유리잔에 꽂아 시각적인 매력과 풍미를 더할 수도 있다.

 

'J w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 용어 정리  (0) 2023.09.29
프랑스 보졸레 누보 축제  (0) 2023.09.06
1855년 그랑 크뤼 클라쎄  (0) 2023.06.24
로마네콩티  (0) 2023.06.20
샤토 마고  (0) 2023.06.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