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 article

논문을 왜 읽고, 쓰는가?

by DARA J 2023. 9. 3.

논문을 왜 읽고 쓰는가

 

인용이 무엇이지?
참고문헌은 왜 논문마다 형식이 조금씩 다른지?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 설계, 실증분석, 결론의 형식을 꼭 맞춰야 하는지?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KCI, SCI, SSCI 등은 뭐가 다른 건지?
.........

 

 

2016년 늦은 나이에 대학원에 입학하고 논문을 접하게 되면서 들었던 많은 의문들 중 일부이다. 6년간 석박사 과정을 마치고, 지금은 자유롭게 내가 쓰고 싶은 논문을 직장 생활의 일상 속에서도 틈틈이 발표하고 있다. 그런데 나와 같이 직장 생활을 하면서 석박사 과정에 계시는 분들이 내가 겪었던 어려움들을 똑같이 겪으면서, 이러한 궁금증들을 나에게 많이들 문의하고 있다.

 

대부분 본인의 공부 정도에 따라 이해하는 정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논문의 형식적인 부분을 물어보는 경우, 또는 논문 주제 선정이나 통계분석, 그리고 글 작성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물어보는 경우 등 너무 다양한 부분을 각자 수준에서 물어본다.

 

원 포인트 레슨처럼 한두 가지의 논문 고민점에 대해 내 생각을 말해주면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질문하는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은 나에게 논문을 잘 쓰고 빨리 쓸 수 있는 특별한 비법을 알려달라고 요청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일부 경우에는 나에게 주제를 정해달라거나 아니면 대놓고 논문을 어느 정도 써달라는 식으로 부탁하는 경우까지도 있다.

 

나의 원칙은 공부하지 않으면서 오직 학위만을 자격증처럼 편하고 빨리 얻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도움을 주지 않는다. 그래서 그런 불합리한 제안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왜 논문을 써야 하는지, 논문을 왜 읽어야 하는지 등을 나의 경험담을 바탕으로 설명하면서 스스로 논문 공부를 시작한다면 내가 옆에서 돕겠다고 제안을 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러한 나의 제안에도 시간이 없어서 또는 이미 실무 전문가인데 왜 탁상공론 같은 이론적 논문을 배울 필요가 있는가 등의 핑계를 대시는 분들이 있다.

 

 

 

논문은 정말 특정 연구자들의 세상에만 존재하는 결과물인지? 우리 일상생활이나 실무와는 전혀 상관없는 다른 세상의 이야기인지? 논문을 왜 써야 하고, 왜 다른 좋은 논문들을 읽어야 하는지를 석박사 과정에 있는 분들조차 이해를 못 하는 경우가 있어서 많은 안타까움이 든다. 그리고 나 또한 내가 작성하는 논문들이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논문이 아닌, 자기만족의 논문을 위한 논문이 아니었는가를 항상 성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래서 앞으로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의 논문들을 여기서 소개하면서 왜 논문을 읽어야만 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논문들의 탐구를 통해 우리가 어떤 논문들을 쓰고 발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유와 목적을 내 나름의 견해로 제시하고자 한다.

 

'J arti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을 잘 쓰기 위한 첫걸음  (1) 2024.01.07
사회과학 (social science) 연구  (0) 2023.11.19
논문과 책의 비교 (가설)  (0) 2023.09.30
논문과 책의 비교 (인용)  (0) 2023.09.20
논문과 책의 비교 (형식)  (0) 2023.09.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