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 wine

한국 와인의 역사, 와이너리 및 특징

by DARA J 2023. 3. 15.

한국 와인

 

한국 와인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막걸리, 소주와 같은 한국의 전통 주류가 오랫동안 인기를 끌었기에 한국 와인은 상대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 않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한국 와인의 역사와 와이너리, 그리고 특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1. 한국 와인의 역사

한국 와인은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막걸리와 소주 같은 한국의 전통 주류는 수세기 동안 인기를 끌었지만, 와인은 20세기 후반이 되어서야 한국에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 프랑스인 Daniel Colin이 경기도에 포도나무를 심고 현지 소비를 위해 와인을 생산하기 시작한 것이 한국 최초의 와이너리이다. 하지만 본격적인 한국 와인의 성장은 1990년대에 들어서야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 새로운 와이너리와 포도밭이 많이 생겨나면서 한국 와인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한국의 와인 생산량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며, 국내에서 생산된 와인은 대부분 국내에서 소비된다. 한국 와이너리에서는 주로 캠벨얼리(Campbell Early), 머스캣 베일리 에이(Muscat Bailey A)와 같이 국내에서 재배한 포도로 만든 과일 와인과 포도주를 생산한다. 한국 정부도 2012년 대한민국 주류대상을 제정하고 2017년 소규모 와이너리가 유통업체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법률을 도입하는 등 와인산업 육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한국 와인의 역사는 비교적 짧지만 한국 와인산업은 성장하고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인의 취향 변화와 관심 증가를 반영하는 것이다.

2. 한국 와이너리

샤또 마니: 제주도에 위치한 와이너리로 제주도산 포도는 물론 국내 다른 지역의 포도를 사용해 다양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제주도산 포도로 만든 레드 와인과 경상도산 포도로 만든 화이트 와인이 대표적이다.

나라 와인: 경상도에 위치한 와이너리로 국내에서 재배한 포도로 다양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한국산 세이발 블랑(Seyval Blanc) 포도로 만든 화이트 와인과 한국산 포도로 만든 레드 블렌드 와인이 대표 브랜드이다. 샤토 코리아: 충청도에 위치한 와이너리로 수입 포도는 물론 국내에서 재배한 포도를 사용해 다양한 와인을 생산한다. 대표 브랜드로는 수입산 람브루스코(Lambrusco) 포도로 만든 스파클링 레드 와인 '람브루스코'와 국내산과 수입산 포도로 만든 레드 블렌딩 와인 '샤또 코리아'가 있다.

스타필드 와이너리: 경기도에 위치한 와이너리로 캘리포니아 포도밭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재배한 포도를 사용해 다양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대표 브랜드로는 국내산 포도로 만든 로제 와인 '스타필드 로제'와 캘리포니아산 포도로 만든 레드 와인 '스타필드 까베르네 소비뇽'이 있다.

포도 와인: 전남에 위치한 와이너리로 국내산 포도는 물론 매실, 산딸기 등 국내산 야생 과일을 활용한 다양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달콤한 산딸기 와인인 '복분자주'와 한국 전통 막걸리와 레드 와인의 퓨전 와인인 '막걸리 와인' 등이 유명하다.

 

3. 한국 와인의 특징

1) 와인 소비량: 시장조사업체 유로모티너에 의하면 한국의 와인 소비량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2021년 약 1조 5000억 원이며, 와인 수입액은 약 7500억 원으로 조사되었다.

 

2) 수입 시장: 한국에서 소비되는 와인의 대부분은 수입산이며, 프랑스, 칠레, 호주, 미국, 스페인이 와인 수입 상위 국가이다. 수입 와인은 국내 전체 와인 시장의 90%가 넘는다는 기사도 보도되고 있다.

 

3) 소매 채널: 한국에서는 슈퍼마켓, 편의점, 와인 전문점 등 다양한 소매 채널에서 와인이 판매되고 있다.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와인 소매업체가 많아지면서 온라인 판매도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4) 가격대: 한국에서 와인의 가격대는 매우 다양하여 1만원(약 9달러) 미만인 와인도 있고 수백 달러에 판매되는 와인도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와인은 중간 가격대에 속하며, 보통 2만 원에서 5만 원 사이에 많이 판매된다.

 

5) 트렌드: 한국 소비자들은 유기농 및 내추럴 와인뿐만 아니라 프리미엄 와인에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스파클링 와인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으며 와인 투어 및 시음회와 같은 와인 관련 활동도 증가하고 있다.

 

이렇듯 한국 와인산업은 아직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젊은 산업이지만, 국내외에서 인정을 받으며 성장하고 있다.

 

[J wine] - 일본 와인의 역사, 특징, 유명 와인브랜드

 

일본 와인의 역사, 특징, 유명 와인브랜드

일본은 한국보다 먼저 서양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와인의 도입 또한 우리나라보다 빨랐다. 그러나 일본도 2차 세계대전을 거친 후 1970년대에 와서야 와인 산업이 발전하고 본격적인 와이너리들이

www.momwaltz.com

[J wine] - 중국 와인의 역사, 특징, 중국산 와인브랜드

 

중국 와인의 역사, 특징, 중국산 와인브랜드

중국은 오래 와인제조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통은 최근에 중국 와인들이 전 세계 주요 와인 대회에서 수상하면서 국제무대에서도 인정을 받는 원천으로 작용하였다. 이렇듯 중국와인은

www.momwaltz.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