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 wine

캠벨얼리의 원종인 Concord 품종

by DARA J 2023. 10. 14.

포도품종 콩코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에서 재배하고 있는 포도품종 중 샤인머스캣이 41.4%로 농가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다고 한다. 그다음이 캠벨얼리로 31.7%로 나타났다.

 

우리가 흔히 마트에서 사 먹는 포도가 캠벨얼리(Campbell early)인 경우가 많다. 캠벨, 얼리 캠벨, Island Belle라고도 불리는 캠벨얼리는 교배종으로 콩코드(Concord) 품종과 블랙머스캣 (Black Muscat) 품종의 교배로 만들어졌다. George W. Campbell이라는 사람이 1890년에 미국 오하이오에서 교배에 성공하면서 생산되었다.

 

그래서 여기서 한번 우리나라에서 많이 생산되는 캠벨얼리의 원종인 콩코드와 블랙머스캣 포도품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콩코드를 알아본 후 다음 글에서 블랙머스캣을 알아보도록 한다.

 

 

1. 콩코드의 특징

콩코드는 포도 주스와 젤리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인기 있는 포도 품종으로 콩코드 포도에 대한 몇 가지 주요 특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외형 : 콩코드 포도는 완전히 익었을 때 짙은 자주색이거나 거의 검은색으로 보인다. 그리고 독특한 두꺼운 껍질을 가지고 있다.

2) 맛: 달콤하면서도 강한 맛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주스, 잼, 젤리 등에 적합하다.

3) 원산지: 19세기 중반 미국에서 개발되었고, 매사추세츠의 콩코드 지역명에서 이름을 따왔다.

4) 와인 제조: 콩코드는 주로 주스와 보존 액으로 사용되지만 와인 제조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콩코드로 만든 와인은 일반적으로 달콤하고 과일 맛이 난다.


5) 재배 지역: 미국의 다양한 지역에서 재배되며 특히 미국 북동쪽에서 상당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추운 기후에도 잘 견딘다.

6) 다용도: 일반 포도로 소비되는 것 외에도 주스, 젤리 및 기타 포도 맛 제품을 만드는 데 널리 사용되고, 종종 유대인들의 율법에 따라 생산되는 코셔(Kosher) 와인에 사용된다.

콩코드 포도는 미국 포도의 상징으로 다른 포도들과 마찬가지로 심장에 좋다고 알려졌다. 까베르네 소비뇽이나 샤르도네와 같이 전통적인 와인 생산에 사용되는 다른 포도 품종들과는 달리, 과일로 많이 소비되는 특징이 있다.

 

[J wine] - 포도품종 샤르도네의 특징, 유명 산지, 역사

 

포도품종 샤르도네의 특징, 유명 산지, 역사

지금부터 포도품종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화이트와인의 포도품종인 샤르도네 (Chardonnay)를 살펴보면, 샤르도네는 가볍고 산뜻한 와인부터 풀 바디와 오크향까지 다양한 스타일의

www.momwaltz.com

 

코셔와인

코셔 와인에 사용되는 포도는 수확 시부터 와인 제조 전 과정에 거쳐 유대인이 생산해야 한다. 즉 안식일을 준수하는 유대인들이 해야 한다는 의미로 와인 제조 과정에 사용되는 모든 장비와 첨가물의 취급도 유대인들이 해야 한다. 그래서 와인 제조 과정에는 코셔 인증을 받은 첨가물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는 정제제, 효모 및 기타 와인에 첨가되는 모든 물질이 포함된다. 코셔 와인은 레드, 화이트, 스파클링 등 다양한 스타일로 만나볼 수 있다. 일부 코셔 와인은 이스라엘, 미국 등 유대인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반면, 일반적으로 전 세계에서 생산된다. 모든 유대인이 코셔 와인만을 엄격하게 선택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코셔가 아닌 와인을 선택하기도 한다.
콩코드 품종으로 생산된 코셔 와인 중 잘 알려진 제품은 마니셰비츠 와인이다. 마니셰비츠는 코셔 와인의 브랜드이며, 특히 콩코드 품종이 사용된 와인이 인기가 많다. 이는 달콤하고 풍부한 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2. 콩코드 품종과 와인

콩코드 포도는 일반적으로 세계적 규모의 유명한 와인생산과는 관련이 없다. 특히 전통적으로 카베르네 소비뇽, 샤르도네 메를로와 같은 품종으로 생산하는 전통적인 와인 시장에서는 사용되는 품종은 아니다. 그러나 콩코드 품종은 달콤하고 과일 맛이 나는 와인을 만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종종 디저트 와인 생산에 이용되는 품종이다.

 

그리고 콩코드 품종은 다른 포도 품종과 혼합되어 와인 생산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콩코드 품종의 달콤함으로 다른 품종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도움을 준다.


문화적 의미로 콩코드 품종은 미국의 맛과 연관된다. 콩코드 포도로 만든 와인은 미국 유산의 일부이며 콩코드의 독특한 맛을 즐기는 사람들을 위한 와인으로 생산된다. 그래서 콩코드 와인은 기존 달콤한 드라이 와인과 차별화되어 달콤한 와인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선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디저트와 궁합이 맞기 때문에 간식으로 즐길 있다.

 

 

'J w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리처(Wine Spritzer) 칵테일 만들기  (0) 2024.01.21
상그리아(Sangria) 칵테일  (0) 2024.01.14
와인 용어 정리  (0) 2023.09.29
프랑스 보졸레 누보 축제  (0) 2023.09.06
샴페인 하이볼  (0) 2023.07.03

댓글